-
[Think] 3. Ergonomic problems when the elderly people use Home appliances. (with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H.A. ( Home Appliances ) 2020. 9. 26. 22:15반응형
2020.09.26 고령층이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에 관한 이야기(POST CORONA -2-)
INTRO.
지난번 포스팅에서 COVID-19의 확산과, 이제는 일상이 되어버린 비대면 기술에 대한 첫 번째 이야기로 뉴 실버세대(a.k.a 오팔세대)에 관해 이야기 했다.
그리고 이번주 주제를 "무인 자동화 시스템인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 겪는 어려움과 개선점"으로 선택하려 했었다.
하지만, 꽤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Wickied Problem이기 때문에 리마인딩하는 정도로 넘어가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리를 잘 해둔 사이트가 있기에 공유합니다.)
http://www.bloter.net/archives/354238
[블로터13th] 노인을 위한 IT는 없다
생존의 문제로 치닫고 있는 노인 정보격차 문제
www.bloter.net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버세대가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불편을 줄이기 위한 방법과 현 상황에 관해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마침, 2018년도 Industrial Ergonomics 학술지에 고령층이 세탁기를 사용할 때 겪는 문제에 관해 다룬 논문이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 해보려 한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한번 읽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출처 : HUANG, He; YANG, Minggang; LV, Taifeng. Ergonomic analysis of washing machines for elderly people: A focus group-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18, 68: 211-221.)
출처 : HUANG, He; YANG, Minggang; LV, Taifeng. Ergonomic analysis of washing machines for elderly people: A focus group-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18, 68: 211-221 나이가 들면서 사람들은 여러가지 신체적 결함을 마주하게 된다는 것쯤은 모든 사람들이 익히 알고있는 사실이다.
노안에 의해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고 지방과 근육량이 감소되어 근력이 줄고 관절이 안좋아져서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이 힘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인지능력 또한 저하되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학습능력이 저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배우는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릴 뿐 학습하는 것 자체에는 무리가 없다.)
최근에는 어릴 때 무엇인가를 배울 때 걸렸던 시간, 그리고 새로운 환경을 마주할 때 걸린 시간이 나이가 들어가며 조금씩 늘어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한다.
출처 : 삼성전자 세탁기는 집에 없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우리 생활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생활가전제품이다.
가사 노동시간을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세탁기가 최근에는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로 구성된 코스까지 추천해준다고 하니 기술의 발전에 놀랄 따름이다.
하지만 나에게 좋은 제품이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좋은 제품일 수는 없다.
31명의 중국인 고령자들이 세탁기를 사용할 때 겪는 불편에 관해 분석한 본 논문에서는 4개의 main topic을 선정했다.
1. Inconveniences and difficulties in the use of washing machines
2.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machine interface design and user performances for washing machines.
3. The demands and intentions for the functions of washing machines.
4. Human-machine interface design and user preferences for washing machines.
(아무래도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얻는 과정이다보니, 모집단의 규모와 객관성의 한계가 존재한다.)
SURVEY를 통해 파악된 27가지 문제점들 (Current washing machines have many ergonomic deficiencies) 누구든 처음 해보는 일이나, 일을 처음 배울 때 버벅거리기 마련이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부럽다. 일단 나는 처음에 많이 버벅이는 타입이다.
Analysis of the Results.
1. Inconveniences and difficulties in the use of current washing machines.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버벅임은 더 심해진다. 아니,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더 걸린다. 본 논문에서 파악한 첫 번째 문제점은 세탁기의 새로운 기능들을 익히기 힘들다는 것이다.
1-(1) Feature fatigue (P4, P5, P9, and P10)
"Most of the time I just use the standard washing procedure of the machine".
"There are too many functions, and i actually do not need some of them".
피실험자의 절반 이상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 외의 다른 기능들을 구분하는 것과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실제로 많은 제품들이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뽐낼 뿐 실제로 사용하는 고객의 입장(특히 고령층)을 고려하지 않는다.
(아 물론, 최근에 스마트 가전으로 출시되는 제품들은 AI Solution 기능이 놀라울 정도로 발전되어서 사용하기도 좋다는 평도 많다.)
1-(2) Deficiencies in interface design. (P1, P2, P7, P15, P16, P17, P18, P21, and p22)
"Too many buttons, but we don't need them."
세탁기를 사용할 때, 고속모드, 에코모드, 울세탁 등등 기능은 정말 다양하게 많다.
제한된 공간(Space)에 많은 정보를 글자로 표현하다보니, 조작부 주위로 빼곡하게 글씨가 쓰여있는 것을 다들 한 번씩은 보았을 것이다. (가끔 젊은 사람들조차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빼곡하게 쓰여진 제품도 본 기억이 있다.)
노안에 의해 가독성이 떨어지는 고령층에게는 이것만큼 곤혹스러운 상황이 없다.
The eyesight, hearing, working memory and reaction speed of elderly people are declining, and the accuracy and strength of their fingers are wakening accordingly. (Park et al., 2002; Chung et al., 2010; Xiong and Muraki, 2016).
나이가 들수록 시각, 청각 그리고 기억력 저하로 인해 제품을 사용할 때 정확도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스마트 가전제품이 상용화됨에 따라 터치 방식 버튼은 고령자들의 접근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런 문제는 언택트 기술이 발전하고 종업원 대신 무인 자판기가 늘어남에 따라 더 심화되는데, 고령자들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때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연구"에 의하면 고령자들이 선호하는 키오스크 UI디자인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반대로 얘기하면, 하기 5가지 요소가 현재의 키오스크 시스템에 부족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출처 : 홍승윤; 최종훈.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19.4: 556-563.)
1. 아웃라인 또는 솔리드 형태의 버튼이 권장된다.
2.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된 버튼의 세로 결합 형태가 권장된다.
3. 화면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시선 흐름과 조작의 방향이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메뉴 수와 안내 정보가 증가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4. 페이지 내비게이션은 가로 형태가, 메뉴 배열은 세로 형태가 권장된다.
5. 버튼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으로, 동일한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 서로 다른 기능의 경우 보색 관계의 컬러를 적용하는 것이 혼란을 줄일 수 있다.이를 바탕으로 정리해보면, 고령자들에게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은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결국 한 문장으로 정리가 가능하다.
"A simple and practical machine was the general demand of elderly people. "
이것이 핵심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새롭게 도입되는 기술들에 대한 고령자들의 선호도는 어떨까?
상기 그림은 새롭게 소개되는 기능들에 관한 선호도 조사 표이다.
대부분 참가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으로는 1. Voice control (음성인식), 2. Antibacterial function, 3. Intelligent frequency conversion. 이 있는데 특히 3. Intelligent frequency conversion 기능은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선호된다고 한다.
특히 음성인식 기술이 실버세대와 오팔세대 그리고 밀레니얼 세대의 간극을 좁히는 아주 강력한 기술이라는 것을 이 논문을 통해 다시 깨닫게 되었다.
(최근에 알게 된 박사님 한 분은 현재까지 공개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계신다는 걸 알게 되었다. 과연 기구개발자들은 이러한 흐름에 어떻게 동화되어야 하는걸까)
2.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machine interface design and user performances for washing machines. & The demands and intentions for the functions of washing machines.
조사한 불편사항들을 토대로 개선사항을 도출한 결과 29가지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기능의 다양성에는 그다지 매력을 느끼지 않았지만 (avoiding feature fatigue) 디자인 개선(achieving a moderate design)에 중요성을 두고 있었다.
Types of the Door
기본적인 통돌이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는 각각 상기 Fig.3 의 (a), (b)에 해당된다. (a)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키와 감소하는 근력으로 인해 빨랫감을 꺼낼 때 사용자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또한, 관절이 약해지기에 앉고 일어서는 등 관절을 사용하는 자세에 불편을 겪게 된다.
따라서 약간 기울어진 형태의 도어가 적용된 세탁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림 상당 숫자가 선호도)
4. Human-machine interface design and user preferences for washing machines.
4-(1) Types of buttons.
In view of the three types of buttons comonly used in washing machines, including rubber, plastic, and a touch screen, participants discussed their preferences.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버튼은 고무 소재의 버튼에 가장 선호도가 높았는데, 이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장 즉각적이기 때문이었다. 터치 스크린의 경우,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건지 잘 모르겠다는 반응도 있었다고 한다.
"As shown in Fig.7,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approved of a rubber button, and the thought that the rubber button had a better tactility than the plastic and touch screen buttons since the rubber was soft and flexible. "
나는 개인적으로 사용자와 가전제품이 상호작용을 할 때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버튼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물리적 조작이 버튼과 다이얼을 통해 이뤄져 왔기에, 터치스크린으로의 변화는 고령층에게 낯섦만 가져다 줄 뿐이라 생각한다.
이는 키오스크 '터치스크린'이 지닌 치명적 단점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키오스크는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쉽고 정확한 조작과 빠른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다.
하지만, 이러한 동작의 수행에 관한 연구 결과 고령자들은 일반 성인에 비해 그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me participants chose the touch screen button.
They said the touch screen key was larger, colourful and had a more vivid graphical design.뭐, 물론 내 우려와는 달리 터치스크린 방식이 화면도 넓고 시각적인 요소가 풍부해서 만족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경우는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나이가 어린 경우라고 한다.)
5.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Current manufacturers and designers of househole appliances(including washing machines) mainly concentrate on the target market of young consumer gourps and pursue abundant functions of products ."결국 가전제품의 발전방향은 하단의 세 가지 요소를 "어떻게 담아낼 수 있는가?"에 달린게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다.
1. 기능은 다양하더라도 조작법은 단순해야 한다.
2.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적절한 interaction이 가능해야 한다.
3. 가전제품은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에게 편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ex. Tilted Door)
"A simple and practical machine was the general demand of elderly people. "
물론 최근에 출시되는 세탁기와 냉장고 등 스마트 가전의 경우 1번과 2번은 인공지능 기술로 어느정도 해결된 부분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문을 열고 닫을 때의 자세와 물품을 꺼낼 때 그리고 조작할 때 사용자가 겪은 인체공학적 문제들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고, 앞으로의 가전은 이를 어떻게 개선해 나갈지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6. References
[1] HUANG, He; YANG, Minggang; LV, Taifeng. Ergonomic analysis of washing machines for elderly people: A focus group-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18, 68: 211-221
[2] 홍승윤; 최종훈.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19.4: 556-563
[3] 한영석, et al.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12, 17.1: 39-52.
[4]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in older adults on performance with different degrees of automated technology
[5] PINTO, Maria Rita, et al. Ergonomics, gerontechnology, and design for the home-environment. Applied Ergonomics, 2000, 31.3: 317-322.
반응형'H.A. ( Home Appliance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nk] 7. 'The Right to Repair' & 'Repairability' -1- (0) 2021.01.31 [Think] 6. 국내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현황 및 기술동향 (0) 2021.01.17 [Think] 5. 관습과 변주 : 가내 시청 기기 이용에 관한 연구 (0) 2021.01.03